[경제플러스=정한국 기자] 최근 한계기업 구조조정 부진 등으로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벌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는 총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임금 격차로도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7일 발간한 BOK이슈노트 '우리나라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 배경과 총생산성 및 임금 격차에 대한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가 최근으로 올수록 선도기업 기술 우위보다 후행 기업 역동성 저하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2015년 외부감사 대상 기업의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생산성 기준 상위 5% 기업(선도기업)과 나머지 여타그룹(후행기업)을 분류한 뒤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노동생산성으로 보면 선도기업은 근로자 1명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7천10만원이었지만 후행 기업은 9분의 1 수준인 780만원에 불과했다.

명목임금은 선도기업이 2억4천300만원으로 후행 기업(6천600만원)의 3.7배였다.

보고서는 이런 생산성 격차는 최근 후행 기업 생산성이 선도기업보다 더디게 개선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생산성 격차는 선도기업 기술이 빨리 발전하거나 후행 기업 기술 발달 속도가 떨어질 때 나타나는데 최근 들어 후자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이다.

이는 신규기업 진입, 한계기업 구조조정 부진 등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졌는데도 연명하는 기업들이 늘며 시장 역동성, 전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어서다.

실제 업력이 10년 이상이면서 2년 연속 영업 적자를 낸 '한계 장년 기업' 비중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규제가 빠르게 완화한 운송·통신업 등에서 생산성 격차는 축소했으나 규제개혁이 미흡한 사업서비스·전기가스업에선 격차가 확대됐다는 점도 후행 기업 생산성 둔화가 전체 기업 간 생산성 격차를 확대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했다.

이런 추세는 선도기업 기술 우위에 따라 발생하는 생산성 격차와 달리 전체 총생산성에 마이너스 요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기업 간 생산성 격차는 임금으로 반영된다. 기업 생산성 격차가 1%p(포인트) 상승하면 임금 격차는 0.797%p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기업 간 기술전파와 효율적인 자원재배분 촉진이 총생산성, 임금 불평등을 동시에 개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