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그룹의 본부인 미래전략실을 전격 해체 했다. 삼성 그룹 직원들은 지난 1일 공휴일 임에도 불구하고 회사에 나와 짐을 싸고 있었다.

한국 경제를 주도하던 직원들의 자부심에는 물론이거니와 한국 경제계에 엄청한 충격이며 파장을 몰아 가고 있다. “앞으로는 지금까지 삼성 그룹에서 진행해 왔던 지원을 기대할 수 없을 겁니다.” 고참 직원의 말이었다.

김영란법이 주로 소액이나 개별 활동의 비리를 막기 위한 것이라면 이번 삼성 미래전략실 해체는 기업이나 기관들의 정경유착 논란을 끊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 피해는 그동안 삼성 그룹으로 인해 수혈을 받던 크고 작은 그룹들에 오고 있다. 가장 큰 피해는 사회 공헌 활동 지원을 받던 그룹이 있고, 경제 산업 정책을 위해 협조를 구하던 정부 각 부처 기관, 공공 활동을 위해 협찬을 받던 공공 기관 등이다.

대표적인 언론사나 방송사들도 주요 피해처다. 한편에서는 자기 발등을 스스로 찍은 것이 아니냐는 자조 섞인 반성도 나온다. 판결도 나기 전에 구속부터 하고 보자는 특검이 그러했고, 언론이 나서서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은 막았어야 했다는 것이다.

글로벌 기업 삼성 헤드쿼터가 기업 합병 같은 중요한 건을 처리하는데 있어 그렇게 어설프게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번 일로 인해서 한국경제는 끼치는 파장은 엄청나다.

첫째, 삼성 계열사들의 투자는 눈에 띄게 줄어든다. 계열사 대표들은 실적으로 평가 받기 때문에 실적 관련이 아니면 모든 비용을 줄이고 위험성이 있는 신규 투자는 거의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삼성 계열사들의 신규 채용도 그룹 채용 규모 보다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각 계열사에서 필요한 인원 외에는 대규모 신규 채용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수시로 경력 채용은 있겠지만 실적 위주의 경영 방침에 신규 채용이 쉽지 않다.

셋째, 그동안 그룹 차원에서 진행하던 기부금, 사회 공헌, 협찬, 마케팅, 광고 등의 비용도 없어지고 계열사에서 집행하게 되면서 모든 사회 공헌 차원의 활동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 규모는 노출되지는 않았지만 엄청난 재정 규모이며 대상들이 큰 숫자라고 들은 바 있다.

넷째, 소위 수십 개의 삼성 후자(삼성 계열사에서 실적이 좋지 않은 회사들)들이 경영 지속이 힘들어 질 경우 사회 경제에 끼질 파장도 엄청나다.

경제 질서를 바로 잡겠다는 대의는 있었지만, 4차 산업 혁명이 다가오고 있는 중요한 시기에 글로벌 수장이 도망갈 수도 없는 상황임을 알면서도 그를 구속해 버린 것이, 빈대를 잡겠다고 초가를 불태워 버린 경우가 된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 뿐이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